건강정보

여름철 냉방병 증상 원인 대처법

건강한젤리 2023. 7. 15. 23:15
반응형

 

냉방병은 여름 하면 떠오르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냉방병은 의학적으로 정의된 질병명이 아닙니다. 에어컨 같은 냉방 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추운 실내에서 장시간 머물 때 나타나는 임상증상을 통칭하는 일종의 증후군입니다.

 

 

 냉방병 원인 

 

1. 상기도 감염균

 - 상기도 감염균은 감기 바이러스 등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균들을 말합니다. 주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발생하며 두통,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레지오넬라균

 - 레지오넬라균은 건물 냉각탑 수, 에어컨, 가습기, 분무기, 수도꼭지 등의 오염된 물속에 있다가 작은 물방울 형태로 공기 중에 퍼져 사람 몸에 들어오게 됩니다. 주로 고열, 기침, 근육통 등 독감과 같은 증상을 일으킵니다.

 

3. 밀폐건물 증후군

 - 빌딩 증후군의 일종으로 시원한 실내 온도는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주로 두통을 호소하며 눈, 코, 목 등이 건조해져 따갑거나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럽거나 피로합니다.

 

 

 냉방병 증상 

 

1. 눈, 코의 건조함

2. 두통, 어지러움

3. 피로감, 졸음

4. 목의 통증, 기침과 재채기

5. 인후통

6. 코막힘

7. 소화불량, 설사

8. 여성의 경우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생리통이 심해기지도 합니다.

 

 

 냉방병 대처법 

 

1. 실내 습도 유지

 - 건조한 공기는 냉방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실내 환기

 - 실내를 자연 환기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에어컨 사용 시간 조절

 - 에어컨을 오랫동안 계속 작동하는 것보다 일정한 간격으로 적절한 시간 동안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에어컨 필터 관리

 -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있는 필터는 실내 공기의 질을 저하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6. 수분 섭취

 - 실내의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체내 수분이 빨리 증발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